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용성 진단(ADVANCED STRUCTURAL DIAGNOSTICS)

전문가 제언
□ 교량의 유지관리 목적은 교량의 현상을 파악하여 이상 및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통행함과 동시에 향후 교량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다. 대표적인 교량관리 시스템(BMS :Bride Management System)은 미국의 POINTS System으로 1993년에 개발되었다. 현재 미국 내 46개주가 참가하는 정부 차원의 프로젝트로 수차에 걸친 적용 시험을 거쳐 제기된 문제점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선된 POINTS Release 3(1995년)이 완성되어 미국 각주에 S/W와 매뉴얼이 배포 적용되고 있고, 현재도 계속 프로그램이 개선 · 보완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교량의 유지관리는 점검 대상의 다양성 및 복잡성, 평가의 불확실성 등으로 시설물 안정성과 잔존수명을 예측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는 관리체계가 관리 주체에 따라 상이한 유지관리 항목과 안전진단 전문기술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한 진단결과가 좌우되기 때문에 유지관리 업무와 관계된 각종 자료, 점검 및 진단결과의 이력화, 관리 항목의 표준화로 유지관리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교량이 수명을 다할 때 까지 최적의 건설비로 최소의 유지관리 비용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LCC)분석을 통한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장래에 요구되는 유지관리 수준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적정 관리 수준의 확립이 요망된다.
저자
Ayaho MIY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684)
잡지명
Cement and concrete(A105)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
분석자
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