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용접에 의한 이종금속의 접합(Resistance Welding of Aluminum Alloys to Dissimilar Metals)
- 전문가 제언
-
□ 최근 특성이 서로 다른 이종금속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종금속간의 접합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합금은 질량이 가볍고 비강도가 높아서 자동차와 철도차량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탄소강과 같은 구조용 이종금속과의 접합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접합하려는 용접모재에 압력을 가하고 전류를 흘려 두 모재의 접촉부에 발생되는 저항열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저항 점용접 공정은 용접 후 열에 의한 용접모재의 변형이나 잔류응력이 작고 가압에 의한 효과 때문에 용접부의 금속조직이 매우 양호하며 작업속도가 빠르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므로 일반산업체의 박판(6mm 이하) 용접공정 및 자동차 차체 용접공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저항 점용접은 용접전류, 전극 가압력, 용접시간 등의 용접공정 변수들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 과 이종금속간의 접합강도가 크게 변하므로 각 용접변수의 변화에 따른 용접품질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 알루미늄 합금과 철강재료, 동,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이종금속의 저항 용접에서 이종금속 접합부의 계면에서 생성되는 취약한 금속 간 합금물층은 저항 용접으로 접합된 이종금속 제품을 사용하는데 커다란 제약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이종금속의 저항 용접 기술개발에서 반드시 극복해야 할 기술과제이다. 이런 면에서 본고에서 정리한 알루미늄 클래드 강판, 알루미늄 도금 강판, Al-Si 박, 은박과 같은 삽입재와 Ti-Mn 분말, Ti-Mn 분말과 같은 반응성 삽입재 등을 사용하여 이종금속을 저항 점 용접하는 새로운 접합기술에 관한 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저자
- Tomiharu Ok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2(1)
- 잡지명
- 경금속용접(L09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15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