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미늄합금과 이종금속간의 마찰압접(Dissimilar Friction Welding of Aluminum Alloys to Other Materials)

전문가 제언
□ 최근 특성이 서로 다른 이종금속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종금속간의 접합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합금은 질량이 가볍고 비강도가 높아서 자동차와 철도차량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탄소강과 같은 구조용 이종금속과의 접합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부재의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을 가압 회전시키면서 접촉면의 고속회전에 의한 마찰열을 이용하여 두 부재를 접합하는 마찰압접은 다른 용접 법에 비해 접합조건의 설정이 용이하고 고상상태에서 접합이 진행되며 작업자의 숙련이 필요하지 않아 이종재료의 접합에 편리하여서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마그네슘, 구리, 니켈합금과 같은 비철금속과 탄소강, 스테인리스강의 동종 및 이종재료의 접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마찰압접은 이종재료의 접합이 용이한 특징을 갖고 있으나 두 부재 간에 열전도도의 차이가 크거나 또는 취약한 중간상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완전한 접합이 어렵다. 특히 알루미늄 합금과 탄소강과 같이 특성이 크게 다른 이종금속 접합부의 계면에서 생성되는 금속간 화합물 합금 층은 마찰압접으로 제조된 기계류 부품 등을 사용하는데 커다란 제약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양쪽의 부재와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하기 어려운 인서트 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접합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등 향후 이종금속의 마찰압접 기술개발에서 반드시 극복해야 할 기술과제이다. 이런 면에서 Nihon 대학교에서 정리한 “알루미늄합금과 이종금속간의 마찰압접”에 관한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Kazuyoshi Katoh ; Hiroshi Tokisu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2(2)
잡지명
경금속용접(L09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9~66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