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용 재료의 기술과 전개 : 자동차와 플라스틱-모듈화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자동차 부품의 모듈화의 목적은 제조 프로세스를 변혁하여 종래의 구조를 모듈 구조로 변화시킴으로써 원가의 저감, 품질의 향상, 생산성의 향상이라 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모듈화에 따라서 수지나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재료에 의한 부품의 일체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경량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모듈은 부품의 설계단계에서 모듈 단위로 설계함으로써 조립과정에서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좋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부품의 동시 개발로 일정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능향상 및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본격적으로 모듈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현대모비스, 한라공조 등이 있다.

○ 현대모비스는 현재 현대차, 기아차에 액슬, 서스펜션, 서브프레임 등 자동차의 뼈대를 구성하는 섀시 모듈 250만대, 계기판, 오디오, 에어컨, 환기장치, 에어백 등 운전석 부근에 있는 약 130여 가지의 부품을 일체화한 운전석 모듈 170만대 및 프론트엔드 모듈 60만대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 특히, 현대모비스는 3가지 모듈에 대한 설계능력도 보유하고 있는 등, 국제경쟁력을 확보해 북미, 유럽, 중국 등 해외 다른 업체에도 모듈 단위의 공급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자동차용 플라스틱의 수요동향은 화학경제연구원이 2003년 9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동차용 5대 플라스틱(PP, ABS, 나일론, PC, PBT) 시장은 자동차의 경량화 및 재활용 추세에 따라 2002년 4,083억원(20만7,597톤)에서 2007년 4,589억원(23만 5,594톤)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자
Dakeo Yasu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2(2)
잡지명
JETI(A040)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5~83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