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대응형 윤활제의 개발과 열간단조에 대한 응용(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Safe Hot Forging Lubricants)

전문가 제언
□ 최근의 단조공정에서는 생산의 자동화, 고속화의 진행에 의해 작업주기가 짧아지므로 윤활피막은 피삭재 표면에의 부착 후 성능이 보다 좋을 것이 요구된다.

□ 최근 일본에서는 티타늄합금, 니켈함금 및 경합금 등의 열간단조에 있어서 빌릿 가열 시에 소재 표면의 산화를 막고 용융시의 유동성에 의해 뛰어난 윤활효과를 가진 유리계 보호코팅제를 개발하였다. 금속의 열간 소성가공 중에서 대단히 소성유동성을 얻기 어려운 알루미늄합금의 단조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금형온도의 효율적인 조절을 위해 에멀젼이나 수성 윤활제의 실용화의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흑연윤활제를 소량 도포하여 금형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며 용액의 비산을 방지하며 폐수처리액 량을 감소시키는 고성능이며 환경친화적인 흑연윤활제 사용을 위한 고효율적인 도포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흑연에 의한 오염이 없으며 흑연계 윤활제의 성능과 동등한 백색윤활제 개발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 고체윤활제를 함유하는 제품의 수명은 고체윤활제의 소비, 도입성 및 부착성에 관계된다. 그러므로 부착성과 도입성을 개선하는 것이 이황화몰리브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점으로서 이들 기술이 확립된다면 고체윤활제가 함유된 제품의 수명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

□ 윤활기술은 윤활제와 기계가 복합된 종합기술이다. 고체윤활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절삭유윤활, 그리스윤활, 기계기술 및 재료기술 등이 동시에 발전해야하며 윤활의 식견을 기계설계나 재료개발에 피드백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윤활기술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기계설계나 재료개발 등 다른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관련분야의 고유기술과의 상호 교류를 통해 종합기술인 윤활기술을 연구˙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Tatsumi HAR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4(515)
잡지명
소성과 가공(C21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172~1176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