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SAHAYA만 간척사업과 ARIAKE해의 재난- 재생을 위한 제언 -The Isahaya land reclamation project and the Ariake Sea Disaster : a proposal for sustainable ecosystem management of the Ariake Sea

전문가 제언
□ 대규모 간척사업은 좁은 국토를 확장하여 농경지 확대와 농업용수 확보, 홍수 등 재난 대비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 일본과 같이 우리나라도 대륙붕이 발달하여 얕은 해수면을 제방으로 매립하기 용이해서 많이 도입되어 왔으나, 근년에는 환경 측면에서 이의 부정적인 조사 보고가 계속되고 있어 전체적인 도입에 제동이 걸리고 있는 현실이다.

□ 이미 도입한 구미 선진국에서는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제방 간척사업에 대해 더 이상 추진을 하지 않고 이미 기존의 제방 등도 원상회복 시키려는 움직임이 많다.

□ 우리나라는 이미 시화 호에서 보듯 제방 안쪽의 부영양화를 포함한 환경 손실이 커서 해수를 도입하여 환경 일부 회복을 시도하고 있고, 한편 서해안의 새만금 간척사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바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새만금 간척에서 제방이 이미 95%이상 건설된 상태에서 공사 중지와 재개가 반복되고 이와 함께 국론도 분열상을 보이고 있어서 이미 세계적인 환경 관심 사항이 되었지만, 아직도 개발이익과 환경 보전 이익이 충돌하고 있어 차선의 절충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일본 ISAHAYA만 간척사업과 같이, 좀더 환경 측면에서 보완 가능한 대책을 제시하여, 개발이익과 함께 국민 모두가 win-win할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ikio AZU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64(3)
잡지명
Japan journal of limnology(E117)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9~217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