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사용자에게 상황 인식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System Infrastructure for Context-Aware Service Delivery to Mobile Users)
- 전문가 제언
-
□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앞으로 정보화시대에 인간과 컴퓨터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상황 인식(context-aware)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일부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아직 개발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 상황 인식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 분야는 가정, 사무실, 산업체 및 공공시설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다. 우리나라는 이동통신 분야, 가전제품 분야, 반도체 산업 등 전반적인 IT 분야에서 세계적인 강국의 위치에 있으나, 상항 인식 기술을 위한 연구 개발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부터 실용화까지 정부의 지원 아래 산 · 학 · 연이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상황 인식형 서비스의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요소 기술은 모바일 유저(mobile user)의 환경 정보나 상항을 감지하는 센서 기술, 정보 처리를 위한 컴퓨팅 기술(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 및 네트워크 기술과 이 들 상호간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개방적이고 융통성 있게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기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즉 이동 사용자의 단말기는 경량, 저전력, 규격 간, 지역 간 통신방식에 상관없이 액세스가 유연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고 다중 모드와 다중 표준의 지원이 가능한 설계가 요구된다.
□ 상황 인식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개인 정보가 필요한데 이들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관점에서 철저한 보안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인증 시스템도 서비스 응답시간을 지연시키지 않기 위한 방법도 강구되어야 한다.
- 저자
- Hiroaki Nakamura ; Madoka Yur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19(1)
- 잡지명
- 인공지능학회지(N31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2~58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