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두식품의 현재와 미래-아시아의 대두식품(Present Situation of Processed Soybean Foods & the Future : Soybean Foods in Asia)

전문가 제언
□ 대두의 원산지는 만주이므로, 동북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대두를 이용한 장류(醬類)가 발달했다. 이에 반해 수산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에서는 수산단백질을 이용한 어장(魚醬)이 발달했다. 그래서 두 지역의 식문화를 장류권과 어장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그러나 유독 우리나라는 장류와 어장의 동반 발달로, 오랜 바이오기술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 장류는 간장․된장․막장․즙장․청국장을 비롯해 이웃나라에 없는 고추장을 가지고 있다. 어장의 종류는 100여 종이 넘는 젓갈․액젓․생선식해가 우리 식탁에 영양과 맛을 풍요롭게 공급한다. 이 밖에도 야채를 발효한 김치류, 곡류를 발효한 음청류, 곡주․과실주․식초에 이르기까지 발효식품의 종류는 다양하다. 우리 맛의 뿌리는 이러한 발효의 맛이라 할 수 있다.

□ 이러한 전통 발효기술을 첨단 바이오산업으로 연결시킨다면 한국이야말로 바이오산업의 일등국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아미노산․핵산․항생물질 등의 여러 산업분야에서 선진기업과 당당히 겨루는 괄목할 만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거나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효산업을 발전시킨다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 아울러, 동남아의 전통 대두발효식품을 우리 것으로 접목하여 세계상품화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제품의 성공요건 중 하나는 이미 형성된 국내외 전통시장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런 의미에서 대두식품을 비롯한 전통식품의 현대화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최근 고추장과 김치의 비약적인 수출증가는 세계적 식품으로서 새로운 시장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저자
Y. YOSHI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7(6)
잡지명
식품공업(A0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0~27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