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 수송체와 약물응답성(Drug Resistance Mediated by ABC Transporters)
- 전문가 제언
-
□ 항암제 약물내성과 관련된 유전자들만을 선별해 이에 대한 정보를 모은 데이터베이스가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구축되었으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는 ABC 수송체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들의 발현 과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이 담겨 있다. 또한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에서는 보관하고 있는 백혈병을 비롯하여 흑색종, 난소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등의 암 세포들이 포함된 NCI-60이라는 cell line의 암세포들을 대상으로 ABC 수송체 단백질 전체에 대한 동정과 특성 규명을 시도함으로써 ABC 수송체 단백질 발현에 따른 세포 성장 변화와 세포의 약물 반응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바 있다.
□ 최근 암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이 단백질이 항암제에 대한 암 세포의 약물 내성 발현에 있어 주된 원인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네덜란드 암연구소 Piet Borst 연구팀에 의하여 보고되었으며, 이 단백질은 약물 펌프인 거대 단백질로 P-당단백질(P-glycoproteins)을 비롯해 다제약물 내성단백질, 유방암 내성단백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약물 펌프 단백질은 세포내의 약물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투여한 항암제의 효능도 함께 감소하게 되며 약물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종양 유형의 정확한 예측까지 가능하게 한다.
□ 암 환자 치료에 있어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기존 화학요법제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부작용, 내성 또는 재발 등을 들 수 있다. 항암제가 작용하는 대사경로는 암세포에 특이한 것이 아니고 정상세포에도 동일하기 때문에 암세포의 선택적 독성(selective toxicity) 때문에 임상적으로 화학요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therapeutic index가 클수록 정상조직에 대한 독성은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항암제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에 생화학기전의 괄목한 발달로 새로운 기전에 의하여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시도를 접할 수 있으며, 그 하나가 ABC 수송체 억제물질에 관한 연구이다. 약물 내성을 억제하고 bioavailability를 높여주는 새로운 항암 화학요법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 저자
- Megumi Yoshikawa ; Akiko Ito ; Toshihisa Ishikawa ; Yoji Ikega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1(1)
- 잡지명
- Japanese journal of cancer and chemotherapy(L57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6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