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학공동연구와 향후 연구개발의 전망(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industry, Academia and National Institute : And Perspective of Cosmetic R&D : Perspective of R&D with partnership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전문가 제언
□ 우리는 과학과 기술의 근원적인 차이점을 망각하고 있다. 과학은 인류문명과 함께 순수 철학으로부터 시작되었으므로 실생활(이해관계)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으나 기술은 인류와 함께 하는 실생활에서 필요한 수단이었다. 그러므로 과학은 그 결과를 자기만족을 위해 발표하고 토론하면서 성장하여 왔으나 기술은 실생활(자기이익)에 직접 관련되었으므로 그 결과를 은폐하고 이를 자신의 생활수단으로 이용하였다.

□ 오늘날 모든 분야의 과학은 급격히 발달하여 20세기 초에는 한 분야(예: 전기, 화학 등)이던 것이 불과 50여년사이에 여러 개의 분야로 세분화되었다. 그러므로 현대의 대학 학과 과정도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 하나의 기술을 개발하는데도 과거에는 한 분야의 과학의 도움을 받아 개발이 가능하였으나 이제는 여러 분야의 과학이 종횡으로 지원하지 않으면 개발이 불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더 나아가 하나의 상품을 개발하는데도 과거에는 1개 기술로 가능하였으나 이제는 여러 기술이 복합적으로 조합을 이룬다.

□ 따라서 기업은 하나의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기술의 조합이 필요하며 이들 기술의 개발에는 각각 세분화된 과학의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기업이 이들 과학의 연구를 위해 세분화된 연구원을 확보하여 독자연구를 한다는 것은 자금의 문제뿐만 아니라 연구원의 질적 확보가 더 큰 문제가 된다. 대학 등은 기업보다 훨씬 세분화된 전문연구원(교수 등)이 있다. 그러므로 과학은 대학이나 전문연구기관에서 연구되어야 하며 기업은 이들 결과를 기술에 응용하여 상품을 개발해야 하는 것이므로 산학공동연구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업이 대학 등에 의뢰한 연구의 결과를 기업이 활용하는 산학협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Toshiyuki Tag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32(1)
잡지명
Fragrance journal(J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9~23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