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관리 화장품의 산학관 공동 연구 동향
- 전문가 제언
-
□ 일본 화장품 분야의 공동 연구 형태는 (1) 각 성청의 주도 프로젝트(경제 산업성,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등)에 참여하는 산학관 연구, (2) 공동 연구로 보다 스피드한 성과나 질적 향상을 하고자 하는 첨단 연구 과제, (3) 각 기술별로 자신 있는 분야의 상호보완하는 형의 연구, (4) 건강과 질병의 경계라인을 취급하는 의학과 기능성 화장품 분야 연구(아토피성 피부 등) 등으로 수행되고 있다.
□ ‘화장품 관련 분야에서 산학관 공동 연구의 현상’의 예로, 특히 피부 보호 컨셉트(concept)와 소재(素材) 제안에 대한 처리의 예를 소개하였다. 공동 연구의 기본은 공동 연구가 공통의 목표를 이해하는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기는 하나, 목표가 달라도 그 과정이 공유되어 있어 give and take가 성립되면 어떤 분야와도 공동 연구가 가능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 앞으로 신제품 개발에 있어 성공의 여부는 관련 분야의 무경계화(연구 영역, 시장, 비즈니스, 규제 등)에 수반되는 산학관 공동 연구에서 효과적인 성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최근의 기능성 화장품으로 한방 화장품의 개발 등은 의학, 식품, 화학 등의 전문 분야의 협동 연구에 의한 성과 창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첨단 IT와 BT가 피부 건강 분야에 공동의 목표 설정을 하게 되면 공동 연구는 가능해진다.
□ 특히 정부 차원의 연구 과제 선정시,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개발을 위해서는 1차 산업 분야인 재료 생산 분야와 활용 분야인 가공 조제 및 효능 평가 기술 분야간의 협동 연구를 위한 조정과 연구비의 균형 있는 배려가 고려되어야 한다.
□ 화장품 과학은 색깔의 과학이 아닌 건강 표현 과학이라 할 수 있다. 건강하고 밝은 모습의 휴먼 라이프(human life)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뿐만 아니라 온 몸이 건강해야 하므로, 관련 개발 제품의 재료 특성을 비롯한 영양학, 질병 예방의학, 생활체육 등 주변 과학 분야와의 긴밀한 협동적 체재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Shintaro Inou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2(1)
- 잡지명
- Fragrance journal(J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2~57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