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활석의 화장품 응용개발(New applications of talc to cosmetics)

전문가 제언
□ 화장품의 메이크업 분야, 특히 파운데이션에 있어서는 옛날부터 희게 바르는 화장 문화에서 화장의 장기지속성, 자외선 차폐성, 인공광 등의 세기에 따라 색조가 변화하는 연색성 등을 중시하는 기능중시 시대를 경유하여 최근의 응용개발의 추세는 투명감, 맨살 같은 느낌을 높여 큰 주름살, 기미, 모공 등의 피부의 결점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아름다운 화장 끝마무리’에로 욕구가 강하게 추구되는 시대이다. 따라서 광의 확산, 굴절, 투과로 하는 여러 가지 광학특성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여 특수한 광학특성을 발휘하는 원료개발에 관심이 집중된다.

□ 그러므로 자연산이나 인공합성품의 배합만으로는 이러한 복합적인 고객의 신시대적인 욕구를 충족키 어렵다. 그래서 천연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감성에 따른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그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방법인데 여기에는 복합화기술이 유효하다.

□ 산란, 반사라는 광학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이 주요 기술이고, 특히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분말입자의 설계가 중요하다. 이러한 광학 특성에 있어서는 벌크 분말의 굴절률, 입자크기, 적층두께 등이 중요인자이며, 일정크기의 마이카 표면에 구상실리카를 균일하게 고정화시켜 그 표면에 가시광의 산란효과로 주름살, 기미 등 피부의 결점을 숨기는 기능이나 세라사이트에 산화티타늄을 코팅하여 피부의 커버 효율을 높여 자외선차단효과를 향상시킨다든가 활석, 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및 적색산화철 등을 적당한 두께로 복합 피복 혹은 혼합 피복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저자
Akio Kuroiwa ; Yasunori Os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31(12)
잡지명
Fragrance journal(J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31~139
분석자
임*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