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건강 미용식품의 개발동향(Trends in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 supplements : Trend in development of the dietary supplement for skin care)

전문가 제언
□ 최근에 식품은 단순히 식욕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섭취되는 것이 아니고,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을 염두에 두고 섭취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건강만이 아니고 미용에까지 중점을 두고 섭취되는 식품군이 등장하고 있다.

□ 에스테틱(aesthetic)이나 정형(整形) 등을 포함하여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의 증가가 괄목할 만하다. 건강에 관한 효과와 같이 미용에 관한 효과도 이미지나 전통 등이 아니라 과학적 근거가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고, 미용 보조식품에 대해서도 상당한 종류의 소재에서 인체시험(미용효과의 경우는 질병이 아니므로 임상시험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인체시험이라 한다)이 실시되고 있다. 피부의 보습성, 콜라겐 량의 측정, 주름의 화상(畵像)해석 등, 피부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노력이 있고 그것에 호응하여 새로운 측정기기가 점차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그들 중에는 사용실적과 신뢰성이 충분하게 검증되고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2중맹검시험(double blind taste)에서 의사의 피부소견은 별개로 하고, 앞으로는 인체시험에서의 측정항목이나 사용되는 측정기기, 측정방법 등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정하고, 그것에 기준하여 효능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 또, 현재 각종 기능성화장품관련법규, 약사법, 식품위생법의 3가지 법률에 의해 특정보건용식품 이외의 식품은 그 용도를 소비자에 명확히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미용용도의 식품이 특정보건식품으로서 인정된 실적은 지금까지 없다. 지금은 물론 앞으로도 그 가능성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즉, 미용식품은 유효성 평가기준도 인허가를 받은 경우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미용식품시장의 확대에 동반한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제품을 출시하고, 그것을 바르게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의 정비가 급선무라 생각한다.
저자
Tomoko Tsuj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31(12)
잡지명
Fragrance journal(J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6~54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