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포화지방식의 체지방축적에 관한 연구(A Nutritional Study of the Mechanism of Body Fat Accumulation Induced by a Beaf Tallow Diet)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고포화지방식이 고다가불포화지방식(高多價不飽和脂肪食)에 비하여 체지방축적을 증대시키는 메커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우지식(牛脂食)섭취에 의한 우지식과 홍화유식을 비교 시험하였다.
□ 시험 결과는 우지식 섭취 에서는 홍화유식(紅花油食)섭취에 비해 체열생산(體熱生産: DIT)이 낮았고, 지방의 합성 · 축적에 작용하는 혈청 인슐린농도가 높았다.
□ 그리고 고지방식 중에서도 지방의 질(지방산 조성)에 따라 비만의 효과가 다른 것이 밝혀졌다.
○ n-6계 다가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을 많이 함유한 홍화유 첨가 고지방식에 비하여, 우지식과 같은 포화지방산 및 1가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이 많이 첨가된 고지방식이 유발성 체열생산(DIT)이 저하하고, 지방의 합성 · 축적에 작용하는 혈청 인슐린농도가 상승하는 결과로, 체지방 축적이 증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그리고 지방산별로는 palmitic acid, stearic acid 및 oleic acid 섭취량은 체지방 축적량과 비만과 유의적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반면, inoleic acid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 우지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 linoleic acid가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n-6계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체지방축적억제작용을 재검토하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 본 연구는 다이어트식의 개발과 비만억제를 위한 우리들의 식생활에 육식을 비롯한 지방질섭취의 지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국민 영양권장기준의 설정에 귀중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앞으로는 식용 유지를 구성하는 개개의 지방산에 대하여, 체지방축적증대작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이어 보다 깊이 있게 개별적인 지방산의 비만관련 메커니즘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Tatsuhiro Matsu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56(6)
- 잡지명
- 일본영양 식량학회지(C04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79~387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