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교량보수공법 -아웃플레이트 공법-
- 전문가 제언
-
□ 중요한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하나인 교량구조물은 구조설계의 오류와 시공 상의 결함, 사용하는 동안 자연환경 및 물리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열화, 허용치를 초과하는 동하중의 반복적인 재하 등의 요인으로 피로균열 등이 발생하여 교량의 성능이 저하되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보수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 차도중앙을 따라 차량진행방향으로 경간(span)이 6m 이상인 구조물을 교량이라고 정의한다. 교량은 효율적인 구조형식으로 설계되고 설계도면에 충실하게 시공품질이 관리되었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성능이 저하하므로 성능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이 50년 이상 100년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교량의 수명은 이에 훨씬 미달한다고 할 수 있으며 그동안 발생한 각종 교량관련 사고가 이것을 반증하고 있다. 적절한 보수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수명과 안전은 보장 할 수 없을 것이다. 현재 교량보수공법으로 적용되고 잇는 기술은 tie cable을 이용한 교량하부 성능개선공법, 복합섬유 에폭시판으로 된 pre-flex panel을 교량슬래브로 대체하는 공법 등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 교량보수는 장기간의 교통통제를 수반하므로 이용시민의 불편, 물류 유통지연에 다른 경제적 손실 등을 초래한다. 여기에서 소개되고 있는 교량보수용 아웃플레이트 공법은 단기에 보수가 가능한 공법으로 여러 가지 불편과 손실을 해소할 수 있는 신공법이다. 획기적인 교량보수공법으로 평가되는 이 공법의 도입이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Bridge copilation committe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0(2)
- 잡지명
- 교량과 도시PROJECT(N0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