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수처리와 미생물(Microorganisms in Wastewater Treatment)

전문가 제언
□ 활성오니법이 1913년 영국에서 처음 실시된 이후, 폐수처리를 위한 다양한 미생물 활용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 그러나 이와 동시에 산업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발생 폐수도 양적인 팽창과 함께 질 면에서도 고도처리를 요하는 악성 폐수가 계속 발생되고 있는 현실이다.

□ 이와 함께 삶의 질 추구에 따라 생활하수도 증가하고 있어 폐수처리는 환경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였고, 특히 지구의 온난화는 부영양화 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부유성 플랑크톤이 대량 증식되는 녹조 현상을 촉진하고, 긴 장마가 지난 후 기온 상승 시 식물성 플랑크톤이 대량 증식되어 나타나는 적조현상도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우리나라도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 인근 호수에서 녹조가 발생하고 1995년 이후 매년 발생하고 있는 남해안의 코글로디니움 적조는 양식 어장과 김 양식장을 황폐화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녹조와 적조는 워낙 광대한 범위로 나타나고 있어 미처 손 쓸 수도 없이 가을이 되어 수온이 낮아져 소멸되기를 기다리는 현실이다. 근본 원인은 총 인과 총 질소가 높아져 생기는 부영양화에 있으므로, 강과 바다로 흘려드는 생활하수와 산업폐수를 고도 처리하여 질소와 인을 대량 제거하는 것이 첩경으로 정부와 민간의 협조가 요구된다.

□ 이외에도 현재 유기 폐기물 가운데 오염 부하량이 매우 큰 폐수로서 축산 폐수를 들 수 있는데, 하천오염과 부영양화를 초래하며 악취로 피해가 크나, 일부만 퇴비화하거나 산화구법 등으로 처리되고 대부분 방류되고 있어 이의 고도처리가 매우 시급한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 다음 골프장 폐수도 부영양화에 매우 큰 변수로서, 과도한 비료 살포와 살충제 이용 및 방류로 인하여 인근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일본과 같이 방류 기준을 강화시켜서 자체 고도처리 후 깨끗한 처리수로서 방류되도록 행정적인 계도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저자
Takehiko Og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78(3)
잡지명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3~209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