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과 미생물(Food Microbiology)

전문가 제언
□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도 급속하게 산업화 사회로 변천되면서 식생활도 서구형으로 변화되고 있어 가공식품의 범람과 외식 선호로 식중독 발생이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 그동안 식품의 원료 공급과 조리, 섭취라는 단순 구도에서 원료 채취(수입 포함), 운반, 가공 및 제조, 저장 유통, 조리와 섭취 등 복잡한 경로를 갖게 되어 그만큼 세균에의 노출 위험이 커진 것이다. 특히 최근엔 사람과 물자의 국제적 이동이 잦아지면서, 질병도 이에 따라 거의 동시에 이동 발생하고 있어 국제적 관심사가 되고 때에 따라 국제간 마찰이 생기곤 하는 실정이다.

□ 이는 지구가 온난화 하는데 따라 각종 질병이 창궐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어, 질병 특히 식중독과 기후의 밀접한 관계에서 긴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일기예보와 함께 식중독 지수를 개발하여 예보 계획 중이다.

□ 우리나라는 연간 식중독이 100건 안팎 발생되고, 3~6월에 집중되며, 환자 수는 건당 50~60명 수준으로 집단 급식 특히 학교에서 집단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다.

□ 원인 균으로는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 비브리오가 3대 원인 균으로서, 이 가운데 포도상 구균은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에 유독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는 사회 전반적인 위생 수준이 좀 더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학교의 집단급식에서는 저가 급식 낙찰이라는 근본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있겠지만, 가장 위생의 기본 사항은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는 점이며, 최근 정부에서도 캠페인을 통해 국민들의 호응을 기대하고 있다.
저자
Shigeko Ue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78(3)
잡지명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1~22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