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 보급을 위한 연구개발과 규격(Populariz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s)
- 전문가 제언
-
□ 1973년과 1979년의 2차례에 걸친 석유위기를 맞아, 석유를 대체하기 위하여 1981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Tehachapi, Altamont, San Gorgino에 거의 동시에 풍력발전단지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단위기의 용량이 40~65kW에 불과하여, 센세이션은 불러일으켰으나 석유를 대체할 것으로 큰 기대는 모으지 못했다.
□ 그러나 1990년대 초에 덴마크를 위시한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서 풍력발전의 개발에 적극 참여하여, 이들 4개국의 2002년도 현재 설비용량이 합계 23,832MW로서 이는 세계 전체의 75%에 해당한다.
□ 특히 덴마크는 2002년도 전체 발전전력량 가운데 14%를 풍력으로, 6%를 또 다른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 충당하고 있어 석유의존도를 크게 낮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감축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 일본도 석유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서 석유대체 에너지원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선샤인계획과 뉴선샤인계획에 의하여 태양광 및 태양열발전, 풍력발전, 지열발전 및 바이오매스발전의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뉴선샤인계획하의 풍력발전 연구개발은 2002년도로서 종료되고, NEDO에서는 풍력발전의 도입을 촉진한다는 관점에서 계통안정화를 목표로 한 조사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아직 풍력발전은 미미한 편이지만 풍력발전을 위한 제도의 마련으로 강원도 대관령풍력발전단지 98MW(2MW×49기), 전남 신안군풍력발전단지 300MW(1.5MW×200기)와 같은 대규모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고 있지만, 풍력발전단지의 조성에 가장 적합한 부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풍황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 저자
- Hikaru MATSUMI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124(1)
- 잡지명
- 전기학회지(A09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21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