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MIT보고서"원자력의 장래"의 의미와 쟁점(The Arguments and Implications of MIT Report The Future of Nuclear Power)
- 전문가 제언
-
□ 인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효과가 큰 원자력발전은 주요한 선택 옵션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하며, 이의 실현을 위하여 극복해야 할 과제와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현재 미국을 위시하여 원자력개발선진국에서 국제공동으로 추진되고 있는 여러 가지 개발계획에 대하여 타당성이 검증될 때까지 보류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 미국에서 1973년 이래 중단되었던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위하여 “2010년 원자력이니셔티브” 등 각종 개발정책이 활발하면서도 조심스럽게 추진되고 있고, 지속적 발전을 위한 “제4세대원전 국제포름”과 “선진적 핵연료주기이니셔티브” 등이 수행되고 있다. 이들은 계획입안단계로부터 집중적으로 검토되고 논의되어 작성된 로드맵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프랑스, 일본 및 IAEA의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MIT보고서가 제기한 문제들은 이미 심층 분석되어 있다.
□ MIT와 Harvard 대학교수들의 학제적인 연구보고서이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러나 내용에는 새로운 것이 담겨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쟁점을 흐릴 우려가 커서, 프랑스 CEA, 일본의 원자력산업회의 등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고, 미국 DOE는 이 보고서와 의견이 다른 부분을 항목별로 제시하고 있다.
□ 1970년대 두 번에 걸친 석유 파동시, 원자력발전의 전세계적인 전개를 미국 카터 정권의 핵비확산 정책이 저지시켜, 원자력발전과 핵연료주기 기술개발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한 바 있다.
□ 40%이상의 전력 공급력을 갖는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시스템은 IMF 외환위기시와 현재의 고유가 시대에도 전력을 값싸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후 핵연료저장 등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되어 있다.
- 저자
- Koji NAG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6(1)
- 잡지명
- 일본원자력학회지(A15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30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