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설비별로 본 설비관리비의 고찰(Study on Life Cycle Cost for Building and Equipment)
- 전문가 제언
-
□ 건물이나 제품의 LCC는 제품개발의 진행과 동시에 결정된다. 즉 전체LCC의 80%가 설계종료단계에서 결정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건축물이나 제품의 개발에서 설계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설계는 설계자의 능력에 크게 의존되는 것으로, 소위 표준화가 되지 않는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개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설계단계에서 어떻게 할 것인가, 구체적인 지침, 환경, 기법 등을 시대의 변천 등에 알맞게 제안을 할 필요가 있다.
□ 근래 시대의 발전과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건물이나 제품의 개발에서 개발기법, 설계기법도 비약적으로 진보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문제를 비롯하여 고객의 요구도 다양화되어, 제품개발도 변화되고 있다. 즉 설계도 효율 우선에서 효과 우선의 방향으로 되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CAD, CAE를 기본으로 한 개별형 설계 도구에서 통합형으로 발전되었다. 따라서 설계를 질적으로 또는 전략적으로 할 수 있는 설계기법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구미 주요국에서는 사업계획단계에서 사업기간의 총 예산산출 등 LCC 수법을 활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건설사업 계획단계에서 장기적인 시야의 자금계획 등을 민간의 건축물에서 LCC 수법을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공공부분에서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건축기준법 공공시설 및 국가기관의 건축물의 건설에 관한 법률 등에는 LCC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LCC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앞으로 국제화 시대에 동참하기 위하여 반드시 법적인 규정 등 이에 관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K. Minemasa ; K. Seki ; T. Satou ; K. Murakami (et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24(2)
- 잡지명
- 전기설비학회지(G08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89~130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