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고신뢰성 자동차용 LAN 규격 FlexRay(With High Speed and Reliability, FlexRay Stands Out for Automobile LAN)
- 전문가 제언
-
□ 고속, 고신뢰성 자동차용 LAN 인터페이스 규격 FlexRay를 사용한 자동차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FlexRay 규격 관련 개발 현황과 관련 주요 형상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 엠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의 기술 발전과 더불어 이를 자동차에 사용하는 기술이 점차 개발되어 현재 LIN, CAN을 거쳐 주행 제어계 시스템인 FlexRay 규격으로 진화하였으며, 추후 정보계 시스템인 MOST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 자동차에서 효율적인 동력전달, 연료절감, 경량화, 안전규제 등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고 초고속 LAN 규격 사용과 더불어 기계적인 제어장치의 전자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2005년 이후부터는 승용차 가격의 35% 이상이 각종 차량용 전자장치를 장착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측한다.
□ 외국의 BMW, Ford, GM, Toyota 등을 위시하여 선진자동차 업체들이 속속 FlexRay 규격을 도입하였으며, 국내에서는 GM대우, 현대/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등도 FlexRay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였다.
□ 자동차의 고기능화와 더불어 FlexRay 규격이 표준화되는 시점에서 이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자동 제어시스템을 갖춘 이상적인 승용차의 출현을 기대해 본다.
- 저자
- Andreas Bot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866)
- 잡지명
- Nikkei electronics(F2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15~122
- 분석자
- 박*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