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전도성입자상에서 입자모양이 Percolation거동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Size and Shape of Conductive Particle on Percolation Phenomena of Conductive Particle/Polymer Composites)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은 고분자유기물질과 금속산화물을 배합해서 나타나는 물성을 충전제의 종류, 충전제의 입경, 충전제의 량 등을 함수로 하여 측정한 내용을 Review한 것이다. 소위 첨단과학의 범주가 아니고 재료의 실용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스미기 현상 이론(Theory of Percolation Phenomena)은 1950년대에 Hammersley에 의하여 처음으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 후 Staufer와 Aharony 등의 과학자에 의하여 연구내용의 개념이 정립되었다. 보기에는 복합소재 재료분야의 내용인 것 같지마는 통계물리, 수리물리의 기초적인 학문분야이다. 그 응용의 범위는 매우 넓다. 즉 2개의 상 이상이 접촉해서 일어나는 모든 영역에 이 이론이 적용되기 때문에 특히 재료분야를 연구하는데 에는 이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 논문에서 매트릭스로 사용한 재료는 LDPE이고, Filler로 이용된 것은 SnO2와 Graphite이다. 물성을 조사하기위하여 선정한 조건은 Filler의 몰분율과 입자의 크기로 되어있다. 이렇게 해서 만든 복합재료의 특성은 대부분의 경우 비례 또는 반비례로 나타나게 마련이다. 첨단물성을 찾는 것은 어렵기는 하지마는 특수한 반응조건에서 얻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그 이유는 새로운 물성은 화합물의 전체 또는 국부적인 곳에 질서 또는 무질서를 야기 시킴으로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령 순간 압력이라든가 Quenching이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 압력과 온도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것이 아쉽다.

□ 한국에서도 복합재료에 관한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기관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부산대학교, 한국전기연구소, 수원대학교, 한양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을 꼽을 수 있다.
저자
Kazuya Nag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77(2)
잡지명
Journal of the society of rubber industry, Japan(C21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4~59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