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 재료의 냄새 분석(Analysis of Odor for Polymer Materials)

전문가 제언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신축 1년이 안된 아파트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일본의 권고 기준(100μg/m3)을 초과할 정도로 오염이 심각하여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 발생 위험이 있다고 비상이 걸려 있다.

○ 냄새(악취)도 대기 오염의 한 형태로 규제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치명적인 물질이 아닌 경우에는 등한시되어, 우리나라에서는 냄새에 대한 연구활동이 부진한 상태이며, 여러 제반 조건 등의 미비로 인해 다른 공해 분야에 비해 분석 및 대응 기술이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 공기 중의 냄새에 대한 측정 방법이 확립되지 않으면 사실상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규제 기준을 설정할 수 없으므로 냄새 측정 및 분석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 국내에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 전문의 태성환경연구소 등이 고기능성 나노형 탈취 제품 연구개발 분야와 최첨단 기술로 독자적인 분석 능력을 갖추고 플라스틱 및 각종 소재 분야 등에 활발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지만, 냄새에 의한 대기 오염 방지 및 규제 등에 관한 연구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사람의 건강한 삶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해 냄새와 탈취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증가와 함께 냄새에 대한 연구도 함께 발전하길 기대하며,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의 냄새 분석에 전자 코(electric nose)의 응용 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저자
Hiroyuki KO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76(12)
잡지명
Journal of the society of rubber industry, Japan(C21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53~459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