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 생합성의 조절기구(Regulation mechanisms of ethylene biosynthesis in higher plants)
- 전문가 제언
-
□ 에틸렌 생성의 기본 생체효소인 ACC synthase나 ACC oxidase 유전자의 발현이 분자 레벨에서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해명하는 것은 지금부터의 과제라는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그러면 어떠한 전사조절인자가 ACC synthase나 ACC oxidase 발현 조절에 관여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그의 유전공학적인 유전자발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작물의 생육과 품질 특성 및 수확 후 관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확립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ACC synthase와 ACC oxidase는 생성된 자체 에틸렌에 의해서도 발현이 변동한다. 에틸렌에 의해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전사 조절인자로 Ethylene-insensitive 3(EIN3)과 Ethylene response factor(ERF)의 ACC oxidase의 프로모터로 EIN3과 결합하는 시스배열이 존재하므로 EIN3 유전자가 ACC oxidase의 발현의 품목별 구체적인 기작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 그리고 ACC oxidase의 에틸렌에 의한 유도는 단백질합성저해제인 cycloheximide로 저해된다. EIN3에 의해 유도를 받는 유전자는 프라이머리 유전자라고 생각되므로, ACC oxidase의 에틸렌에 의한 유도에 EIN3 이외의 인자가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도 밝혀져야 할 것이다.
□ ACC synthase나 ACC oxidase에는 유전자 프로모터 부분에 GCC Box에 상동성이 높은 배열을 가진 유전자가 있어, 이들 유전자가 발현 조절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고려된다. Arabidopsis의 유전자가 해명된 것에 의해 전사조절인자의 해석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ahide Sato ; Shinji Mizu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38(2)
- 잡지명
- 식물의 생장조절(M10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87~202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