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외분비단백질의 특성과 응용(Properties of Insect Exo-secreting Protein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 전문가 제언
-
□ 사회성 곤충(social insect)이란 집단을 이루고 그 안에서 계급을 만들어 분업을 하는 곤충을 말한다. 흰개미, 개미, 말벌, 꿀벌류가 이에 해당하는데, 계급의 분화나 분업의 정도는 곤충의 계통적 위치와는 별관계가 없다. 사회성의 발생은 모충(母蟲)이 유충을 포육(哺育)하는 일에서 시작되며, 모충의 수명연장과 더불어 대가족이 형성됨에 따라 개체 간에 분업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성 곤충은 놀랄 만큼 많다. 그 중에서 막시목 곤충인 개미류, 벌류와 등시목 곤충인 흰개미류, 동시목 곤충인 진딧물류 등이 고도로 발달한 사회성 동물이다.
□ 로열젤리는 부화한 지 3~13일 된 어린 일벌의 하인두샘과 상악샘(上顎腺)에서 나오는 유백색의 신맛이 나는 분비물로서 벌꿀과는 그 성인과 성분이 전혀 다르다. 로열젤리는 꽃의 꿀과 화분을 원료로 하여 어린 일벌의 몸 안에서 합성․분비되는 것인데, 약 65%의 수분을 빼면 주성분은 단백질이다. 탄수화물 약 20%, 지방질 14%이며, 유리아미노산도 풍부하고 대부분의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다. 무기질과 비타민류, 유기산도 포함하고 있어서 종합영양제로 평가되고 있다.
□ 셀룰라아제는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효소이다. Trichoderma reesei는 광범위하게 연구된 셀룰로오스 효소복합체로서 결정성, 무정형 그리고 화학적으로 유도된 셀룰로오스를 정량적으로 글루코오스로 분해한다. 37℃, pH 5.0에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로부터 1시간에 글루코오스 0.01g을 얻는 셀룰라아제의 양을 한 단위로 정의한다.
□ Moriyama는 대장균을 사용한 곤충 셀룰라아제의 발현을 연구하고 있는데, 보통의 촉진제를 사용했을 때는 발현 시에 대부분 미약한 활성이 확인되었고, 강력한 촉진제를 이용한 대량발현에서는 효소활성이 없는 단백질이 대량생산되는 현상이나 반대로 거의 발현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했는데 그 이유를 규명하여 밝혔더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곤충공장 시스템에서는 누에의 체액 1㎖당 mg단위 이상의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서 생산효율이나 비용면에서도 이익이 확보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는데 산업화에 기대를 걸어본다.
- 저자
- Hirofumi Watana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1(3)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1~67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