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동물 인터페론의 생산(Production of Animal Interferons by using Baculovirus)
- 전문가 제언
-
□ 누에를 이용하여 생물활성이 높은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약 20여년전부터 유전자재조합 기술이 선진국에서 시도 연구되어 많은 기대와 성과를 얻고 있으나, 아직까지 생산성을 높인다든가 순도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기술 등은 미진한 것이 있어 중요한 연구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지금까지 누에를 이용하는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생리활성 물질을 발현시킨 것으로는 마우스 IL-3, 인간 M-CSF, 인간 GM-CSF, 인간 β인터페론 등 사이토카인류와 인간 성장호르몬, 개 parvo 바이러스 항원, 말라리아 항원 등이 보고되고 있다.
□ 애완동물용 의약품으로 개발 연구되어 온 고양이 인터페론은 누에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유전자를 재조합하여 이것을 누에에 접종하여 재조합단백질을 얻는 기술로서 높은 재조합단백질의 발현량이 얻어지고 생리활성도 보유함으로써 고양이 인터페론이 생산 개발되었다.
□ 이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 생산을 위한 연구는 주로 곤충류 특히 누에에 한정된 감이 있으나, 기타 곤충류인 애벌레 및 빈모류(貧毛類) 등 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하겠으며, 또한 미생물을 이용한 분자 수준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생물로부터 채취한 줄기세포를 시험병에서 배아로 배양과정에서 임파선(Lymphonodus) 분화시 인간 인터페론 유전인자 조작으로 특정 재조합단백질 발현 기술의 개발 연구가 기대된다.
- 저자
- Takashi Tanaka ; Fumiyoshi Okano ; Katsushige Yam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1(3)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1~27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