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견단백질의 화확수식에 의한 신기능 부가와 그의 이용(Addition of New Functions to Silk Proteins by Chemical Modification and Their Applications)

전문가 제언
□ 견단백질이라 하면 배단옷감인 고급 의류섬유라는 인식으로 섬유재료라는 관념이 강하였으나 근래에는 의류분야에서 화장품분야, 식품분야 및 의료분야 등으로 활용면이 확대/증진되어 세계 각국에서 비중있는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견단백질이 본질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견단백질의 특성 중 기능성 이용을 목표로 하기 위하여 기능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화학적 수식이 필요하게 되여 견섬유의 화학적 가공이라는 형식으로 성능개량에 목표를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견단백질을 수용성으로 한 다음 간단한 가공으로 분말(粉末), 겔, 스폰지 및 필름 등의 재료로서 용이하게 가공이 가능하며 일단 고체화되면 물에서는 용해되지 않으므로써 환경에 좋은 재료로 이용된다. 특히 누에는 대기중의 탄산가스를 견단백질에다 고정화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견단백질 재료를 중심으로 한 산업화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에 도움이 된다.

□ 견단백질을 화학수식에 의한 기능부가로 황산다당류(heparin, chondroi-
-tin)를 생리활성물질로 작용함으로써 치료용 및 검사용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특히 AIDS(HIV)바이러스에 대한 항HIV물질로서 감염초기에 감염예방물질로서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견단백질을 인회석(燐灰石)성분과 복합화로 새로운 뼈친화성 유기-무기 복합재료가 검토되고 있으며, 수술용 봉합사는 물론 혈관대체용으로 또한 인공건(腱)과 인공인대(靭帶) 대용 소재로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 누에의 유전자 변형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 누에로서 견단백질 분자수준에서 화학수식을 통해 보다 많은 이용재료를 규명할 수 있고 따라서 신소재 창출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저자
Yasushi Tam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1(3)
잡지명
Bio industry(G286)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4~60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