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poiesis계로서의 뇌(Brain as autopoietic systems)
- 전문가 제언
-
□ Autopoiesis는 자기 언급적(自己 言及的)으로 자기 자신을 존재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Autopoiesis의 가장 쉬운 예는 생물의 생식(生殖)이다. 생식에 있어 유전자는 유전자를 자기복제(自己複製)한다. 유전자는 단백질 합성법을 지령(指令)하는 정보가 있으나 이러한 정보 전체를 복사하는 정보에는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Autopoiesis의 자기복제는 완전함을 위한 유전자 분석정보가 필수적이며, 어느 유전자 부분의 변형으로 완전 자기복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을 규명하여 이를 파악함으로써 무한(無限)의 자기복제가 가능하게 될 것임을 믿는다.
□ 자기반성(Self-reflection)에서 이념적(理念的) 권력은 현실적 권력과 다르다. 현실적인 권력은 부패하거나 혁명으로 도산하나, 이념적인 권력은 그렇지 않다. 이념적인 권력이란 무엇인가? 이것은 지(知)의 전체를 무모순적(無矛盾的)으로 구성하는 주체(主體)인 것이다. 대상을 통일하여 구성 주체(構成 主體)의 통일을 역조사적(逆照射的)으로 인식하는 것을 철학에서는 자기반성(自己反省)이라 부르며, 개별적 경험적 반성(個別的 經驗的 反省)을 초월한 보편적인 자기반성을 초월론적 자기반성(超越論的 自己反省)이라 부르고, 초월론적 자기반성에 의한 지의 시스템에서 자기 정당화(自己 正當化)는 궁극의 Autopoiesis라고 할 수 있다.
□ “정신은 자기 자신이 창조한 것으로 창조물이다.”라고 초월론적 관념론(超越論的 觀念論)에 가까운 철학적 결론에 귀착되고 있다. poiesis는 Praxcis(實踐)에 대한 말로서 문학적 창작의 의미에 가까우나, Autopoiesis가 단지 자기 인식뿐만 아니라 자기제작이라고 할 때 “Autopoietech Machine에는 입력도 출력도 없음”이라 말하지 않고 “출력이 그대로 입력되었음”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한다.
- 저자
- Hideo Kaw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55(1)
- 잡지명
- 생체 과학(A17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1~76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