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apamycin 표적단백질 mTOR 신호전달계(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ing System)

전문가 제언
□ Rapamycin의 임상 응용으로서 면역억제 효과, 항암 효과 및 심장관상동맥 치료에 있어서 재협착(再狹窄) 방지효과를 들 수 있으며, 면역 억제제로의 작용기전은 현재까지도 계속되어 Syclosporin, Tacrolimus (FK506)에 이어 제3의 면역억제제로 임상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항암작용이 밝혀짐으로써 Rapamycin의 유도체인 CCI-779(Wyeth사), RAD-001(Novartis사) 및 AP23573(ARIAD사)의 항암제로의 임상시험도 진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보의 조속한 입수와 더불어 Rapamycin의 임상에서의 장단점(타 약제에 비하여)을 엄밀히 검토하여 임상에 임할 것을 요망한다.

□ 포유류세포의 영양환경 변화를 mTOR이 감지하여 주로 단백질 번역 억제를 통해 세포성장을 억제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어떻게 mTOR이 억제시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인지 분자기전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기전 규명에 관심을 기울였으면 한다.

□ 암 억제 유전자변이(癌抑制 遺傳子變異)와 mTOR 신호계의 관련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는 mTOR 기능억제제 Rapamycin의 작용기전 연구를 통하여 대사질환 및 세포성장으로 인한 질병 원인 해명으로 보다 차원 높은 대사질환의 임상치료제 개발을 기대하게 된다.
저자
Chiharu Tokunaga ; Noriko Oshiro ; Ken-ichi Yoshino ; Kenta Hara (etc.)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3(3)
잡지명
세포공학(N203)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40~348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