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아효모 Aurora Kinase Ipl1의 염색체 분배에 있어서의 역할(The Aurora IpI1 Kinase Ensures Chromosome Bi-orientation in Budding Yeast)
- 전문가 제언
-
□ 지금까지 해석되어진 몇 개의 Ipl1 변이체가 거의 모든 염색체의 분배이상(分配異常) 등을 특이적으로 나타낼 가능성도 있으며 Ipl1이 Aurora-A 및 C에 상당(相當)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인지 아니면 어떠한지를 재차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체세포 분열에 있어서 장력(張力; tension) 기전이 양극성 연결을 보장하는 것에 대한 최근의 성적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 성적에서 어떠한 제어인자가 이 기전에 관여하여 이루어지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규명이 요망된다.
□ ipl1 변이체(變異体)에서 shinteric한 동원체-방추체극 연결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S. Biggins 등의 in vitro의 동원체-미소관 결합의 분석)되고 있으나, shinteric한 연결이 있는지 어떤지를 조사하는 데는 자매 동원체를 구별하여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출아효모에서는 지금까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규명도 요망된다.
□ 출아효모 연구에서 양극성 보장의 기전 해명에 아직까지 실마리도 잡히지 않은 양극성 연결이 형성되어 동원체·방추체극 사이에 장력이 생겼을 때 이 연결이 어떻게 안정화하며 연결 방향이 그 이상 변하지 않게 하는 데에 대한 의문점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저자
- Tomoyuki U. Ta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3(3)
- 잡지명
- 세포공학(N2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92~297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