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urora-B 세포질 분열의 역할(Function of Aurora-B in Cytokinesis)

전문가 제언
□ 같은 미소관(微小管)에서도 어떻게 극영역(極領域)의 성상체(星狀體)에는 국재(局在)하지 않고 적도영역(赤道領域)의 중앙방추체에서만 국재하는가 하는 것이 매우 의심이 가며 Aurora-B복합체의 특이적 국재 mechanism은 앞으로 세포질 분열연구에 초점이 되리라 생각된다.

□ 선충배(線虫胚)에서의 RNA interference에 의한 Aurora-B복합체 구성성분(構成成分)의 기능조해(機能阻害)에서는 분열구(分裂溝) 후퇴 및 중앙방추체 결손 혹은 이상(異常)등 세포질 분열이상 뿐만 아니라 염색체 응축(凝縮) 이상과 후기 염색체 분리 이상과도 관련이 있는가의 세심한 점검이 필요하다.

□ 포유류(哺乳類)의 Mgc Rac GAP가 Aurora-B에 의해 인산화(燐酸化)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central spindlin이 Aurora-B의 직접적 표적(標的)일 가능성이 크며 복합체 중 어느 부위의 인산화가 어떤 mechanism으로 중앙방추체/midbody형성을 제어(制御)하는가의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 Aurora-B kinase의 하류(下流)에서 세포질 분열을 제어하는 인자(因子)로는 이들 후보 이외에도 더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미 알고 있는 후보도 포함하여 in vivo로서 인산화의 중요성을 검토한다든가 인산화에 의한 제어가 분자적(分子的)으로 해명(解明)되어야 하겠다.
저자
Masanori Mish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3(3)
잡지명
세포공학(N203)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4~318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