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아환자용 이식형제세동기 요법과 심박조율기의 최근 현황(Recent advances in pacemaker and implantable defibrillator therapy for young patients)

전문가 제언
□ 미국 보스턴 소아과병원에 근무하는 Edward는 선천성 심장질환(CHD)의 소아용 이식형제세동기(ICD)요법과 심박조율기(Pacemaker)의 최근 개발현황과 이와 관련된 문제점 및 향후 전망을 집중 검토하였고 미국 심장관련 병원 및 협회와 대학의 최근 지침서를 요약하여 발표하였다.

□ 소아과는 신생아기(0∼1개월), 영아기(1∼12개월), 유아기(1∼6세), 아동기(6∼12세) 및 사춘기(12∼17세)로 나누고 있으며, 이들 각 시기에는 발육·성장 정도가 다르고 생리·대사도 각기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성인심장질환에 집중되어 온 각종 보조 장구를 신생아로부터 청소년에 맞추어 적절한 삽입요법을 유도하기는 결코 용이하지 않다.

□ 양심실조율과 재동기화요법으로 확장형 심근부병증에 설치된 심실내전도는 장기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이 대두되어 양자공명분석기의 원리를 이용한 좌각차단이나 울혈성 심부전의 심실재동기화로 극복하고 있으며, ICD는 운동허용능력 향상을 비롯하여 심장수축 기능개선 등 임상적 이점이 크게 보완되었으나 일부 사망에 대한 정밀연구 또한 요구되었다. 재동기화요법에서 심실흥분으로 생기는 QRS파의 지속시간 단축이나 심장박출계수 및 우심실 압력상승으로 심실조율이 달성되기도 하였다.

□ 소아의 항 빈맥조율장치와 ICD에 있어 CHD의 수술 후 야기될 수 있는 빈맥-서맥증후군에 대한 대책으로 초고속조율에 의한 심방내단절을 유도하여 결과는 충족되었으나 제조사의 생산항목삭제로 대체방안의 곤란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다행히 AT500의 심박조율기가 새로 출시되었고, 또한 ICD는 심장질환에 의한 급사예방을 위해 시술되고 있으며 피하배열로 배치하는 신기법이 확산되고 있다.

□ 서맥조율에 대한 대퇴정맥을 이용한 접근법이 발표되어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입증되었고 미국전역의 심장질환관련단체의 보편타당성 있는 지침서가 새로 갱신되어 소아용 심장질환에 대한 처방지침과 예방대책이 강구되고 있는 점은 우리도 본받아야 할 사항으로 보였다.
저자
Walsh, EP; Cecchin, F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9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CARD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1~96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