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지스틴의 최근 생물학(The current biology of resistin)

전문가 제언
□ 제2형의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 때문으로 보고 있으며 비만과 비인슐린-의존 당뇨환자는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은 고혈압 및 혈액의 지질이상, 동맥경화와 같은 다른 여러 가지 대사질환과 깊은 관계가 있다.

□ 특히 복강비만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과 지방의 축적은 사람뿐 아니라 설치류에까지 확인되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못하였다.

□ Resistin은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포도당의 항상성(homeostasis)을 해치는 것으로 알고 있다. Resistin은 지방세포에서 나와 인슐린 저항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 최근에 발견되어 그 유전자를 retn으로 명명하고 있다.

□ Resistin은 cystein을 많이 내포하고 있는 단백질로 유사물질로 RELMa와 RELMb등이 있으며 사람에서는 19번 염색체에서 2개의 유전자만이 알려져 있다. 사람과 쥐의 resistin mRNA는 64.4%의 상동성을 보이지만 유전자에서는 46.7%만이 같은 서열이고, 아미노산 서열에서는 59%가 동일하다.

□ 지금까지의 resistin의 연구는 설치류를 이용하여 분비세포인 지방세포와 포도당의 항상성에 관한 내용이 많으며 resistin은 당뇨와 비만에 관계가 있어 이 유전자에 대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연구도 진전되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resistin에 대한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당뇨와 비만 같은 대사질환을 생리학적 그리고 유전학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
Steppan, CM; Lazar, 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2554
잡지명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39~447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