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파-리놀렌산과 전립선 암 예방(alpha-linolenic acid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What is the evidence?)

전문가 제언
□ 서구의 일반인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주요 음식물인 고기류, 낙농제품류, 및 가공식품에 함유된 지방산은 주로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아울러 이로 인한 심장관련 질환 및 각종 암 발생으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은 많은 역학조사 연구에 의하여 밝혀졌다. 따라서 현재는 불포화지방산 섭취비율을 증가시키거나 지방산 중 omega-3지방산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식사 지침을 제정하여 권고하고 있다. 또한 omega-3 지방산 중 알파-리놀렌산보다는 어유에 함유된 EPA, DHA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 한편 알파-리놀렌산도 omega-3지방산에 속하지만 체내에서 생합성과정을 거친 후 EPA, DHA로 전환되는 효율 및 비율은 대단히 낮으며, 특히 들깨유 등의 식용유에서는 그 비율이 특별히 높지만 일반적으로 식품가공에 사용하는 식용유에서는 알파-리놀렌산 비율이 낮고 가공된 완제품에서도 총지방산 조성 비율 중 1%이하로 매우 낮은 것도 사실이다. 전립선암은 남성의 암 사망률에서 두 번째로 많으며 발병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에서 보면 외부환경적인 요인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975년 전립선암과 지방섭취 사이에 연관성이 제기된 이후 많은 연구에서 찬반의 결과가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 환경조건을 고려하면 알파-리놀렌산 섭취와 남성의 전립선암 예방효과는 아직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치명적인 심장관련 질환 및 각종 암 발생은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식사유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국가적으로는 합리적인 식사 권고안을 제정하여 어릴 때부터 계도하여야 할 시급한 필요성이 있다. 산업적으로는 우리의 경우 들깨를 유지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기초연구 및 관련 제품개발, 이용 등 다방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가 있다. 또 한편으로는 우리의 식품 중 구운 김에 사용하는 식용유는 열원과 직접반응 하므로 지방 산화물을 다량 섭취하는 급원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지방산화물은 정상세포 및 발암성 세포에서 동시에 작용하므로 이것에 관한 연구도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저자
Attar-Bashi, NM; Frauman, AG; Sinclair, A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714
잡지명
JOURNAL OF U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02~1407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