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식자의 위협과 유충의 밀도 효과(Threat of predation negates density effects in larval gray treefrogs)
- 전문가 제언
-
□ 자연계에서 포식자의 여러 가지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자연 군집의 역동성을 이해하는 과제이며, 피식자의 밀도 의존성은 개체수 조절과 군집 구조에 관한 기본 이론이라 하겠다. 포식자의 한계 치사 효과(non-lethal effect)는 분명히 피식자의 거동 · 활동 및 형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생존 · 성장 및 변태를 좌우한다.
□ 피식자의 생존(생잔)은 서식지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포식자가 없을수록 생존자의 수는 아주 많아지나, 피식자의 밀도가 높은 경우는 포식자의 수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밀도가 적은 상태에서 변태 시간은 포식자가 없을 때가 있을 때보다 아주 짧으며, 밀도가 많은 상태에서는 포식자가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 시간이 짧다. 또 포식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밀도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변태의 생물량(biomass)은 변화 없이 동일하며, 포식자가 없으면 많은 밀도에도 불구하고 적은 생물량으로도 변태가 이루어진다.
□ 어미 피식자는 포식자가 있는 경우에는 포식자가 없는 서식지로 이동하고, 산란은 반드시 포식자가 없는 서식지를 선택하여 산란하며, 유충에 대한 모성애는 포식자에 무의식적으로 과잉반응 할 정도이다. 그러나 유충은 생리상 · 형태상으로 포식자에 대한 적응성이 부족하여 본능적으로 노출을 제한하는 행동은 기대하기 어렵다.
□ 25년 전부터 환경 영향 평가 제도가 시행되어 왔음에도, 많은 국책 개발 사업들이 생태계 보존의 이름 좋은 논쟁에 휘말리어 막대한 사회적 · 경제적 손실을 겪는 경우가 너무 많다. 자연 생태에 대한 책임과 소신 있는 환경 영향 평가를 하여 문제가 발생할 때는 옳고 그름을 여론에 맡기지 말고, 전문 과학인들이 양심껏 소신껏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시시비비를 판단하는데 앞장을 서는 분위기가 빨리 이루어져야 국가적 손실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Resetarits, WJ; Rieger, JF; Binckley, C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1384
- 잡지명
- OECOLOGI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32~538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