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암, PTEN, 그리고 PI-3 kinase 경로(Human cancer, PTEN and the PI-3 kinase pathway)
- 전문가 제언
-
□ 1997년 Ramon Parsons 박사 그룹은 PTEN 유전자를 동정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Michigan 대학의 Jack Dixon 그룹은 PTEN이 흥미롭게도 지질(lipid)인 PIP3의 탈인산화효소로 작용함을 밝혔다. 이후 수많은 후속연구를 통해 PTEN의 돌연변이나 소실은 PIP3 경로를 과도하게 활성화시켜 신경아교종, 유방암, 전립선암, 자궁내막암 그리고 뇌암 등 다양한 인간의 암 발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그러나 현재까지 암세포 억제에 관한 PTEN의 분자수준의 작용기작 및 그 타겟은 명확하지 않다. PTEN의 작용기작을 해명하고 이를 특이적으로 조절하는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암 치료제 개발에 있어 매우 유망한 분야로 손꼽힌다. 예컨대 PTEN이 소실되면 Akt 효소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데, 이것의 기질로 작용하는 mTOR kinase를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rapamycin이나 이것의 유도체인 CCI-779는 임상실험 결과 PTEN이 소실된 종양의 성장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TEN의 소실은 종양발생 이외에도 Fas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켜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을 유발하며, Cowden 병이나 Lhermitte-Duclos 병과 같은 유전질환을 일으킨다. Cowden 병은 PTEN에 배자계열(germline) 돌연변이가 일어나 뇌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 과도한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것이고, Lhermitte-Duclos 병은 신경세포의 비대로 인해 소뇌가 커지는 질환이다. 이는 PTEN이 암의 억제뿐만 아니라 뇌의 발달에도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것을 암시한다.
□ 실제로 미국 UCLA 의과대학의 Xin Liu와 Hong Wu 박사 연구팀은 Cre/LoxP 시스템을 이용하여 PTEN을 제거할 경우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의 분열이 증가하고 세포사가 억제되며 뇌가 비대해져 사망함을 밝혀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Johns Hopkins 대학의 Peter Burger는 PTEN이 소실되면 신경세포체의 크기가 증가하여 Lhermitte-Duclos 병이 유발됨을 밝혔다. 이상의 결과들은 신경줄기세포의 자가복제(self-renewal) 및 세포크기 조절기작에 대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여러 유전병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Parsons, 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52
- 잡지명
- Seminars in Cell & Developmental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1~176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