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달인지신경과학: 진전과 가능성(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progress and potential)

전문가 제언
□ 정신과 뇌를 이해하려는 발달인지신경과학적 방법은 초기단계이며 아직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발달심리학과 인지신경학 분야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 분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기능성 MRI의 기술개발은 인식적, 개념적, 감정적 그리고 운동단계에서의 발달인지신경과학적 변화들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연구를 좀더 구체적으로 다루게 하고 있다. 또한 뇌의 해부학, 심리학 그리고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좀더 자세히 연구하게 한다.

□ 인지발달 분야는 주의, 기억, 개념적 지식, 이의 형성, 논리성, 결정을 내리는 것, 문제해결, 실행기능, 발육의 원리와 기작, 지성, 행동과 운동조절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적 배경에 의한 신념, 사회적 구성도와 표현 등을 포함하는 사회적 인식을 조사 연구하는 분야이다. 발육행동성 신경과학은 발육하는 생명체에서 뇌/행동 관계를 다룬다. 관심집단은 인간과 동물 모델이며, 정신장애, 자폐성, fragile X, Rett Syndrome 혹은 머리상처에 의한 장애등의 집단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한다. 이 분야는 앞서 명시한 주의, 기억, 행동과 운동 등등과 신경해부학적, 신경기능적, 전기생리학적 그리고 신경화학적 관계를 평가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행동유전학은 유전적, 환경적 그리고 이들의 건강에 대한 영향과 정상적인 인간발육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예를 들면 성장하는 생물체에서 유전-환경 상호작용 요인들이 성격, 학습, 인식 그리고 사회와 그룹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연구한다.

□ 타 학문을 필요로 하는 다학제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리고 모든 학문이 계속 발전하는데 힘입어 이 학문은 기존의 발육학적 숙제들에 큰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며, 발육과정에서의 변화들의 기작과 여러 발달이상증에 대한 치료와 진단에도 큰 발전을 가져오리라 믿는다.
저자
Munakata, Y; Casey, BJ; Diamond,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83
잡지명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2~128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