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매와 고혈압 치료(Dementia and antihypertensive treatment)

전문가 제언
□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치매의 발병률도 이에 비례하여 급증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치매 문제는 사회적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치매는 인지기능과 자율성의 상실을 주 증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관리 비용을 비롯한 엄청난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치매의 예방과 치료법 개발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 만족할 만한 치료약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치매의 예방과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노력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 이와 관련하여 그 동안 역학조사나 임상시험에 의해 고령자에서 고혈압증이 치매 발생의 주요 소인이 되고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더욱이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고혈압 발병률이 50% 이상임을 고려하면 노령기에 적정한 혈압관리가 치매의 위험도를 감소는 물론 현재 주요 사망요인으로 되고 있는 뇌졸중 감소를 비롯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비 감소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 고령자의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에 대한 그 동안의 항고혈압 약물치료효과는 연구자와 그 시험 방법, 추적조사 기간 등에 따라 그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항고혈압 치료가 치매의 위험도 감소에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유럽에서 실시된 Syst-Eur 시험에서는 상당히 전망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주로 퇴행성인 알츠하이머형 치매 예방에 dihydropyridine계 칼슘 채널 차단약인 nitrendipine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타 항고혈압제(이뇨제, 앤지오텐신 조절계 약)보다 칼슘길항제의 효과가 좋다는 발견은 혈관요인(vascular factors)이 퇴행성 치매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한편, 현재 의학계에서는 치매 예방에 가장 좋은 항고혈압약의 선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금후 시험평가를 위한 후보 약으로 전술한 nitrendipine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아울러 본문에서 기술된 치매의 발생과 인지기능 저하과정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항고혈압 약물의 유용성 평가와 관련된 최신의 연구 결과들은 향후 치매 예방과 발생의 지연을 위한 연구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Birkenhager, WH; Forette, F; Staessen, J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3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NEPHROLOGY AND HYPERTENS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5~230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