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색질과 세포사(Chromatin and cell death)

전문가 제언
□ HMGB1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핵단백질로서 DNA에 결합하여 전사 인자의 접근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세포 외에서는 염증세포의 동원, TNF(tumor-necrosis factor), IL-6, interferon-γ 등의 국소적 생산을 촉진하는 염증 사이토카인으로서 기능한다.

□ HMGB1은 괴사세포(necrotic cell), 활성화된 대식세포(macrophage), 자연살상세포(natural killer cell), 성숙한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등으로부터 분비되며, 세포자멸사로 인하여 DNA가 손상된 세포나 자외선 혹은 방사선 조사로 인하여 손상된 세포는 HMGB1을 분비하지 않는다.

□ 현재 HMGB1의 활성이나 분비를 조절하여 패혈증(sepsis), 관절염(arthritis), 암 등의 치료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최근 피츠버그 대학의 Billiar교수 연구팀은 HMGB1이 패혈증에 있어서는 말기의 전신 염증(systemic inflammation) 단계에서 기능하나, 간 허혈 재관류 손상(hepatic ischemia reperfusion injury)에서는 염증과 기관 손상의 초기 단계에서 기능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한 결과, 허혈 재관류(I/R) 이후 1시간 후부터 HMGB1의 발현이 유도되어 24시간 후까지 그 발현이 꾸준히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연구팀은 또한 I/R의 생쥐 모델에 HMGB1의 항체를 투여하여 HMGB1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때, I/R injury의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2005년도 J. Exp. Med.에 발표하였다. 이는 실제로 거의 모든 중증환자의 직접적인 사망의 원인이 되는 허혈 재관류 손상에 있어서, 항체를 사용한 HMGB1의 활성 조절이 사망을 늦추거나 조직 손상을 줄이는 결정적인 치료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저자
Bianchi, ME; Manfredi,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6771-3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GENE STRUCTURE AND EXPRESS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1~186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