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형 당뇨병 화학 및 생화학(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Type 2 Diabetes)

전문가 제언
□ 2003년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연간 사망자수는 24만 6000명으로 하루 평균 673명이 사망했다. 원인별 사망자는 암이 6만 4000명이고, 뇌혈관 질환 3만 6000면, 심장질환 1만 7000명, 당뇨병 1만 2000명, 자살 1만 1000명 등 순이었다. 특히 당뇨, 호흡기 질환도 증가해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수로 뇌혈관질환 75.5명, 심장질환 35.6명, 당뇨병 25.0명 등이 암의 뒤를 이었다. 당뇨병은 10년 전보다 8.7명이 증가, 1993년 사망원인 7위에서 지난해 4위로 뛰어올랐다.

□ 당뇨병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1형은 어린이 당뇨병 또는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이고, 2형은 성인-발병 당뇨병 또는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이며, 위의 통계에서 당뇨병의 종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1형이 대개 10%선인 점을 감안하면, 대부분이 2형 당뇨병으로 볼 수 있겠다.

□ 당뇨병은 인슐린 결핍에 기인하는 만성 대사 질병, 즉 1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췌장 β 세포의 면역 파괴에 기인하는 절대적 인슐린 불충분에 기인하고, 2형 당뇨병은 병인학상 보다 복잡하지만, 상대적 인슐린 결핍, 감소된 인슐린 작용, 그리고 골격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의 포도당 이동에 대한 인슐린 저항에 기인한다.

□ 세계적으로 대략 3500만 명의 당뇨병환자가 있으며, 그 중에서 절반만이 진단을 받고 있고, 그 수가 2030년까지는 대략 2배로 될 것으로 추정된다. 장래 인슐린 저항과 이 질병에 대한 이 인슐린 저항의 잠재적 치명적 관계를 더욱 이해하도록 연구하고, 명백한 2형 당뇨병의 초기 이전에 인슐린 저항과 포도당 불내성의 예방 또는 역전을 다음 개입의 목표로 해야겠다.

□ 일반 시민도 평소에 신체적 비활성도가 비만증, 인슐린 저항, 및 2형 당뇨병에 대한 중요한 위험인자가 되고, 아울러 비만증, 심장혈관 질병 및 당뇨병은 운동결핍의 질병임을 인식하고,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골격 근육 포도당 대사를 증대시켜, 당뇨병을 사전에 예방해야 하겠다.
저자
Ross, SA; Gulve, EA; Wang, MH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04(3)
잡지명
Chemical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255~1282
분석자
김*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