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골다공증의 개관(An overview of osteoporosis)

전문가 제언
□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여 정상의 뼈에 비해 골조직의 미세구조가 파괴되고, 쉽게 골절이 생기는 대사질환이다. 일반적으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사이에 골 밀도가 최고조에 이르다가 그 후 차차 뼈를 만드는 양보다 뼈가 흡수되어 빠져나가는 양이 많아져 뼈가 약하게 되는 것이다.

□ 폐경기를 지난 여성에게는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의 빈도가 남자보다 2∼3배 높으며 골절에 의한 사망률은 남자가 오히려 여자보다 높다. 골다공증은 뼈가 부러지거나 다치기 까지는 증상이 없어 골다공증은 고령화 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선진국에서는 많은 연구와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은 3억 2천 2백만 명이고, 2050년에는 5억 5천 3백만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 세계 어느 곳에서나 수명이 연장되어 노인 인구는 증가 하고 있어 골다공증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 통계적으로 보더라도 관골골절만도 1990년에 170만 건이었으나, 2050년에는 670만 건에 달할 것으로 본다. 국내에서도 골다공증 환자가 200만을 넘을 것으로 추산하며 폐경기를 지난 여자의 생존 동안에 골다공증으로 뼈가 부러질 확률은 50%이고, 60세 이상 남자의 경우 25%의 위험을 갖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건강문제인 골다공증에 대해 의사들의 교육의 일환으로 Continuing Medical Education에 사용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특히 강조되는 것은 골다공증을 미리 진단하고, 음식요법을 통한 예방을 권장하고 있다. 국내에도 이미 많은 골다공증환자가 있으며, 증상이 없어 아무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예방, 치료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Shepherd, A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0(2)
잡지명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6~33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