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생아의 뇌졸중(Stroke in newborn infants)

전문가 제언
□ 뇌졸중은 산전 혹은 산후에 발생할 수 있다. 아동들의 뇌졸중에는 여러 가지 통계가 있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아동들의 뇌졸중은 100,000명당 6명꼴로 일어나며 이중 3분의 1이 신생아 뇌졸중이다. 이는 아동사망의 상위 열 번째 안의 이유에 속한다. 12%의 아동들이 매년 뇌졸중으로 사망하며 20~35%의 유아 뇌졸중 생존자들은 병이 재발하여 또다시 뇌졸중에 걸린다. 3분의 2의 생존자들은 신경장애 혹은 발작증세가 있다. 그러나 각 유아마다 각각 경우가 틀리다.

□ 이들 뇌졸중 생존자들은 뇌졸중 여파로 여러 가지 장애를 갖는다. 장애는 발작, 뇌 마비에 의한 반신마비, 저성장, 뇌 마비, 언어와 연설의 장애, 시력장애, 학습장애등이며 이들은 언어치료, 직업치료, 약물 등을 필요로 하고, 특수교육, 기구에 의한 기능회복 훈련 등이 필요하다. 일찍 이러한 훈련을 함으로서 가능한 한 보통사람 생활에 가까운 생활을 할 것이며 치료를 일찍 시작 할수록 그들의 장애가 덜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 출산 후 뇌졸중의 위험인자들은 이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조건 혹은 상처를 의미하며 이들이 확인되었다고 하여 꼭 뇌졸중이 걸리는 것은 아니다. 위험인자들은 선천성을 포함하는 심장장애, 혈액이상 즉, 응고인자들의 부족 혹은 돌연변이, 또한 감염은 고 응고상태를 가져와 뇌혈관 질병의 위험요인이 되며 특히 CNS 및 전신감염은 뇌졸중의 위험인자이다. 또 산모의 이상들 즉, 자가 면역이상, 태아에 코카인 노출 및 감염 등등이 위험인자이다. 태반의 혈전, 혈관의 부적절한 발육을 포함하는 혈관병 또한 위험인자이다.

□ 치료 상황에 대한 연구나 만성적, 1차적 또는 2차적 예방을 위한 무작위 시험들이 아직 거의 없다. 성인과 동물시험에 근거하면 발작, 감염, 발열 등을 철저히 치료하여야 한다는 정도뿐이다. 아직도 출산 후 뇌졸중의 자연적인 역사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아야 하며 애석하게도 아직은 증거에 근거한 예방책이나 치료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
Nelson, KB; Lynch, JK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3)
잡지명
LANCET NEU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0~158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