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IV-감염된 임신환자의 마취문제(Anesthetic considerations for the HIV-infected pregnant patient)

전문가 제언
□ AIDS는 HIV 양성을 보이는 증상으로 CD4+ T세포 수가 200이하인 경우와 통성감염이 확인된 상태이다. 모든 사람은 이 감염과 암에 걸릴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며 HIV에 걸리면 면역시스템이 파괴되어 이들 증상과 암이 신체를 장악한다. AIDS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의하여 발생하며 면역기능이 감소한다. HIV는 성행위, 정맥 주사기를 같이 사용하거나 수혈, 출산 전 태아와 임신모의 혈액교환으로 혹은 산후 모유수급으로 발생한다.

□ HIV/AIDS 환자의 수술과 마취 전반에 걸친 특정 정보는 제한되어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수술시행이 합병증과 사망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이를 막을 필요가 없다. 또한 HIV나 항 레트로바이러스 약제들이 임신합병증을 증가시키거나 임신이 HIV 감염경로를 변화시킨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일반마취가 안전하나 수술 전 약물들이 체내 여러 기관들에 미칠 영향들을 고려해야한다. 이때 부분마취가 적절한 시술기술이다. 그러나 신경병증, 부분감염 혹은 혈액응고 같은 이상이 고려되어야한다. 강조 할 것은 마취의사들은 이 질병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하고 산전 마취에 대한 의논이 있어야하며 HIV 환자를 적절히 치료하기 위하여 팀을 이루어 같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출산단계동안 항 레트로바이러스 약물치료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ACTG 076 절차에 따르면 아기가 분만되기 까지 zidovudine의 경구 투여를 정맥주사로 바꾸어야하고 출산 후는 다시 경구로 돌아 가야한다. 중요한 것은 zidovudine의 정맥 투여는 oxytocin과 같은 라인으로 투여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분만 시 많은 산모들은 두개의 정맥 라인이 필요하다. 전염 예방을 위하여 zidovudine 만을 맞는 환자들은 탯줄이 클램프로 막혔을 때 치료를 중단하여야한다. 복합적인 약물치료를 받는 환자는 출산기간동안 그리고 산후에도 약물치료를 계속 할 수 있다. Nevirapine을 산고 때나 출산 후 초기에 사용하는 것이 최근 미국에서 전국적으로 시험되고 있으나 결과는 아직 미지수이다.
저자
Kuczkowski, K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5(1)
잡지명
YONSEI MEDICAL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