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질병 치료를 위한 분자약제 : RNAi의 질병 유전자 발현 저해 (Molecular medicine for the brain: silencing of disease genes with RNA interference)
- 전문가 제언
-
□ 최근 RNAi의 발견은 생물연구에 혁명적이었으며 인간 질병 치료에 큰 잠재력을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치료하지 못하는 신경계통 질병이 이 RNAi의 흥미있는 표적이다. In vitro에서 과학자들은 우성질병 유전자들을 억제하는데 이미 성공하였다. 몇몇 실험에서 이와 같은 억제는 대립형질 유전자-특이적이었고 정상적인 대립유전자들의 발현은 유지하면서 질병유발 대립유전자만을 발현억제 시켰다. 앞으로의 도전은 이 강력한 기술이 in vivo 동물모델에서 질병 유전자들을 억제하고 질병 표현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 RNAi의 가장 흥미있는 면은 한 사슬 antisense RNA 보다는 이중사슬 RNA(dsRNA)가 간섭하는 본체이고, 이는 아주 특이적이고, 아주 강력하다. 예로 한 세포에서 몇 개의 dsRNA 분자만으로도 간섭이 가능하다. 또 간섭활동은 삽입된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세포나 조직에까지 효과가 있다.
□ 흥미로운 것은 본문에서 언급한 질병들 외에 대립형질 유전자-특이 유전자 발현억제 원리가 다른 후보 질병, 즉 가장 보편적인 우성 유전병인 이상 긴장증 형태인 DYT1 이상 긴장증에도 적용되었다. 이 병은 TOR1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부분에서 3염기쌍(GAG)이 빠짐으로 발생한다. 이 염기쌍 빠짐 현상은 코드화된 단백질 torsinA의 글루탐산 잔여물 한 쌍을 제거한다. DYT1 이상 긴장증의 생물병리학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돌연변이 torsinA는 독성이 우성으로 작용하여 질병을 초래한다고 생각된다. 배양된 세포에서 이 돌연변이 torsinA를 유전자-특이적으로 발현억제 하는데 성공하였다. 현재 이 실험을 in vivo에서 DYT1 이상 긴장증 동물모델에 적용하는 중이다. 추후 결과에 기대가 크다 하겠다.
- 저자
- Davidson, BL; Paulson, H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3)
- 잡지명
- LANCET NEU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5~149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