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면과 늑막(Asbestos and the pleura - A review)

전문가 제언
□ 석면은 매우 값이 싸면서도 유일하게 내화성을 갖고 있어 산업적으로 특수한 용도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인체에 미치는 석면의 유해성 논란은, 급기야 석면의 사용을 법적으로 규제하기에 이르렀다. 후진국의 경우는 아직도 이에 대한 인식이 투철하지 못하여 무방비상태로 사용되는 실정이며, 석면의 오랜 기간의 잠복기의 특성까지 고려한다면 그 폐해는 매우 심각할 것으로 생각된다.

□ 결론에서 명확히 지적한대로, 현재 신규로 사용하는 석면의 소요량은 아주 미미한 수준이고, 계속적인 규제가 세계 각국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과거에 이미 단열재를 비롯해 공업용으로 사용한 석면관련 제품들이 어떻게 안전하고 완전한 방법으로 대기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폐기 처리하느냐의 과제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다.

□ 석면섬유의 특성상 잠복기간이 길기 때문에, 과거에 직업상으로 석면의 생산이나 관련분야에서 일한 근로자들은 언제 어떠한 형태로 질병에 노출될지 불안한 상황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향후의 의료기술의 발달은 이와 관련된 질병을 명확히 판정하게 하여, 직업성 석면질환의 환자에 대해서는 국가가 치료해 주도록 고려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왜냐하면 너무나 오랜 기간이 경과하여 병력의 판단에 문제가 예상되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시비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내용은, 과거 산업화 사회에서 공업소재로 많이 사용되던 석면이 늑막관련의 치명적인 질병에 어떻게 관계되는지 그 배경과 여러 요인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것은 세계의 의학계 및 생리학계가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과학적인 사실이므로, 우리나라도 이와 관련된 질병에 대한 대책수립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Cugell, DW; Kamp, DW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25(3)
잡지명
CHEST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03~1117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