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The effect of environment on breast cancer risk)
- 전문가 제언
-
□ 서구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유방암 발생 빈도는 10만 명당 9명 정도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지만 전체 암 중에서 5위를 차지하며 여성암으로는 자궁경부암과 위암에 이어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유방암은 여성암 중에서 발견 후 사망률이 다른 암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암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남성은 여성의 1%정도의 발병률을 나타내고 있다.
□ 발병의 원인으로는 이 연구논문에서 조사한 바와 같이 환경에서 오는 각종 화학약품에의 노출, 흡연, 생활리듬의 부조화 등등 많은 원인이 있으나 생활패턴의 변화가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 할 수 있다. 신체 발달이 빨라지는데 따른 초경의 저 연령화, 결혼의 지연, 출산기피, 초산과 폐경의 고령화, 모유수유 기피 등 여성 본래의 생물학적 생체 리듬을 역행하는 풍조가 이런 유방암의 증가를 가져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노화 방지를 위한 호르몬 치료 또한 유방암 발병을 증가시키는 인자가 된다. 정작 사회문제화 되는 다이옥신이나 유기염소 화합물 등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고는 그 농도가 극히 적어 발병요인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실제로 유방암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할 수 있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대책부터 하나하나 적용해 가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흡연인구를 극단적으로 낮추고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을 강력히 억제하는 일 등이 중요하다. 사회적으로 만연된 저출산 풍조를 개선하는 일 또한 중요한 유방암 방지책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국력의 신장을 위해서도 절대 절명의 과제라 하겠다.
- 저자
- Coyle, Y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84(3)
- 잡지명
-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73~288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