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원의 수지상세포와 조절 T세포의 약리적 유도(Pharmacological induction of tolerogenic dendritic cells and regulatory T cells)
- 전문가 제언
-
□ 면역억제제와 소염제는 관용원의 수지상세포를 생성하고 경우에 따라 억제활성으로 조절 T세포 증강과 유도를 야기한다. 몇 종의 면역억제제와 소염제의 새로운 반응기전이 확립되어 면역억제제와 소염제기능설명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존의 저분자량 약물과 유사한 분자량의 제제를 생체 내 시험에 사용하여 관용원의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동종이식거부에 대한 자가면역질환으로부터 다양한 만성 염증조건을 유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 각종약물은 수지상세포에 핵인자카파B억제능력과 신호형질 도입경로에서 염증반응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IL-12를 억제하여 세포호르몬은 Th1의존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활용되고, 이 중 비타민D 활성형제제인 1.25(OH)2D3와 그 유사체는 유일하게도 IL-10 수지상세포 분비를 촉진하여 항염증 사이토카인작용을 보여 면역억제제나 소염제 사용에 있어 정확한 작용기전 이해와 역효과 등에 세심한 검토 후 처방이 요구되었다.
□ 비타민D 활성형제제는 칼슘과 뼈의 중추적 역할과 여러 세포의 생장과 분화 및 면역조절작용이 단호하여 각종 비타민D 관련원소나 반응에 관여하고 VDR 배위자는 CD25+Treg세포 증진 및 내성유도 조정능력을 발휘하였으며 비타민D 반응원소와 배위자 주변복합물과 반응하여 인터페론(IFN)을 생산한다.
□ VDR 배위자는 케모카인수용체 발현조절과 췌장섬에서 CD25+Treg세포이동에 관여하고 혈인성 골수 수지상세포 순환에서는 CCR4 배위자인 CCL17과 CCL22를 과량 생산하여 생체 밖으로 보내는 특이현상이 확인되었지만 유형질구 수지상세포에서는 생산이 저조하였다.
□ 몇 종의 면역억제제와 소염제가 가지는 관용원의 수지상세포 유도에 따른 약리적 효능과 이에 수반된 몇 가지 반응기전이 생체 내와 실험쥐 모델로 규명되었다. 우리주변에는 의외로 알레르기성 피부염이나 면역거부로 인한 각종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기초시험을 통한 철저한 검증과 약물의 개발 및 처방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Adorini, L; Giarratana, N; Penna, 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6(2)
- 잡지명
- Seminars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27~134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