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의학 분야에서 미생물 유래 계면활성제의 잠재적 응용(Potential applications of microbial surfactants in biomedical sciences)
- 전문가 제언
-
□ 생물계면활성제는 넓은 의미로 모든 생명체가 생산하는 계면활성 물질로 정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균체 밖으로 생산하는 것을 지칭한다. 한 분자 안에 친수성 부위와 소수성 부위를 동시에 갖는 물질은 경계면 또는 표면의 장력을 저하시키는 계면활성 작용을 나타내며 인지질(Phospholipid)과 당지질(Glycolipid)아 대표적인 계면활성 물질이다. 이와 같은 성질의 계면활성제는 화학합성에 의하여 대량생산되며 세제, 향료, 가소제, 윤활유 둥 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 생물계면활성제는 화학합성 제제와 비교하면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 되고 환경오염의 위험이 크게 감소되어 그 산업적 이용이 매우 유리하다. 최근에는 해양오염 처리와 유전에서 석유의 3차 회수 등에서 응용이 검토되고 있다. 의약 분야에서 생물계면활성제의 이용은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로 이 물질의 여러 가지 유리한 성질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제품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당지질의 일종인 소포리피드는 소포로즈와 C15 장쇄지방산이 1‘-2’ 에테르결합으로 형성된 물질로 식물유를 전구체로 하여 효모의 일종인 Torulopsis속에 의해 높은 수율로 생산된다. 일본에서는 이 물질의 가스 교환능에 착안하여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여 피부의 각질층에 스며들어 수분을 유지하는 보습기능 신제품을 개발하였다. 앞으로 생물계면활성제의 다양한 용도가 개발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ingh, P; Cameotra, S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2(3)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2~146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