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전도선재와 그 응용

전문가 제언
□ 1911년 H.K.Onnes가 4.2K이하의 온도에서 수은의 전기저항이 영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로부터 90년 내경 3cm의 공간에 17T이상의 자장을 만드는 초전도코일이 시판되고 있다.

□ 가는 선재를 만들 수 있어 일찍이 실용화가 된 Nb-Ti, Nb3Sn과 고온초전도체 붐을 일으킨 비스무트계산화물 초전도체, 최근의 MgB2와 Nb3Al의 발견은 다양한 초전도재료와 실용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 우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에너지문제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 가운데에서도 초전도소재와 연료전지 기술은 우리의 생활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 과학기술부가 산학연의 협력을 얻어 거국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초전도마그넷을 사용한 Tokamak형 핵융합로 KSTAR에는 Nb3Sn 등의 금속계 초전도선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Nb3Sn는 Mitsubishi 등에서 소재를 도입하여 케이블화를 한국에서 수행한바 있고, Samsung,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려제강 등이 Nb3Sn 초전도선재의 양산화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절연유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변압기 등의 전력계통 혁신, 핵융합로, 고분해능 NMR 분석기 등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신소재산업의 첨단기술이다. 우리나라는 기초과학분야로부터 뒤진 감이 있으나 향후 수백 년에 걸쳐 활용되는 기반기술이다. 10년 후에 시작하는 것보다 오늘 시작하는 것이 국제경쟁력은 보다 강해진다.
저자
K.Toga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72(4)
잡지명
응용물리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79~483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