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만의 환경 관리를 평가하는 자가 진단법(The Self Diagnosis Method - A new methodology to assess environmental management in sea ports)

전문가 제언
□ 현재 세계 어느 곳이나 마찬가지이지만 항만은 특히 환경적으로 취약한 곳이다. 한정된 좁은 지역에서의 계속적인 선박의 움직임은 불가피하게 선박끼리 또는 선박과 육지 간의 충돌의 위험이 언제나 도사리고 있다. 이에 따른 오염 물질의 누출 위험도 심각하다.

○ 2003년에 시행된 ESPO의 환경에 관한 질문서의 결과, 순위가 매겨진 항만의 특정한 환경적 위험 순위는 항만에 버려진 쓰레기나 오물, 준설에서 나온 흙의 처리, 준설 문제, 먼지, 항구 발전에 필요한 토지 문제, 소음, 위험한 화물, 공기 질의 문제, 수질 문제와 선박에 괸 더러운 액체의 수중 폐기 등이었다.

○ 환경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는 ISO 14001과 EMAS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든 기관이나 회사, 공업 시설의 환경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을 항만에 적용하기에는 특별한 노하우와 전문성이 필요하며 매우 복잡한 항만이 만족스런 성과를 이루어 인증서를 얻기는 상당히 어렵다.

□ 원문은 이 문제에 대응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항만의 환경 관리 평가를 스스로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의 항만의 자가 진단법을 소개하였다. 자가 진단법은 기본적으로 항만의 환경 관리 현황에 집중된 체크리스트에 기반을 두었다. 그 결과 환경 문제에서 주의할 점의 리스트가 만들어지게 되며, 이를 분석한 결과로 항만의 환경 전략을 세밀화 하고, 이를 매년 반복함으로서 항만의 환경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 특히 유럽의 항만들이 모방해야 할 표준 항만을 설정하여, 여기서부터 분석된 항만이 얼마나 뒤떨어졌는지 또는 앞서 있는지 판단하게된다. 또한 이에 따른 개선해야 할 점이 도출되게 된다.

□ 우리나라의 항만도 유럽의 항만들에 못지 않게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여기서 시행되는 자가 진단법을 우리나라의 각 항만에 적용하면, 매우 유용하리라 믿어진다. 이 방법은 유럽의 항만을 위하여 개발된 것이나 우리나라에 적용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자
Darbra, RM; Ronza, A; Casal, J; Stojanovic, TA; Wooldridge, 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8(5-6)
잡지명
Marine Pollution Bulleti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20~428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